약초

[스크랩] 이런약초 재배도 좋을것 같네요

동곡 2007. 1. 25. 19:59

적하수오란?

[적하수오의 효능 효과]

적하수오의 효능<한국본초도감>

1.간신기능부족으로 정혈이 휴손되어 어지럽고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것이 헛보일??,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고 허리가 아프면서 힘이없고 다리가 연약해지는 증상과 유정등에 유효한다.
2.생것은 학질치료에 효험이 있으며
3.약성이 서늘해서 해독작용이 있고 종기를 치료한다.
4.결핵성림프선염에도 신통력을 보이며
5.장관이 건조해서 일어나는 변비증에 통변작용을 나타낸다.
6.야교등<적하수오줄기>는
(1)신경과민으로 인한 불면과 꿈이 많은것을 치료하고
(2)거풍작용이 있어 사지관절의 마비동통을 치료한다.
(3)피부가려움증등에도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
(4)폐병,다한,혈허에 의한 창종,나력,개선을 치료한다.

적하수오에는 anthraquinone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chrysophanic acid,chrysophanol,emodin,rhein,anthronene,전분이다.
야교등에는 anthraquinonedml 종류로 emodin,chrysophanol acid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 약리작용



1.고지혈증에 엑스를 0.25ml씻 1일 3회 2~12주간 복용하자 효력이 있었고
2.불면증에 약침으로 개선효과를 보았다.
3.정신분열증환자에게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
4.백일해에도 감초를 배합해서 치유반응을 얻었고
5.학질
6.피부사마귀에도 3~10주간 복용으로 호전반응을 보였다.
7.설사를 할때에는 복용을 삼간다.

작용및 용도

▶ 작용 및 용도



◐ 신기를 보강하며 정을 가다듬는다. 신허로 오는 유정,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약한데 쓴다. 두충, 우슬, 숙지황, 구기자, 토사자와 함께 쓴다.

◐ 간을 자양하며 바람기를 가라앉힌다. 힘줄이 켕기며 저린데 쓴다. 별갑. 구판, 가작약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당귀, 산조인, 백작약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 해독작용으로 옹종을 가라앉힌다. 국소가 벌겋게 붓고 곪으면서 아픈데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데 쓴다.

◐ 연교, 금은화, 현상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 성능 및 적응증

◐ 성미는 쓰고 달며 떫고 따스하다. 간, 신경에 들어간다.(약학대사전)

◐ 폐와 정, 간과 신을 보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약학대사전)

◐ 오래 먹으면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배안의 모든 냉병을 낫게 한다(제가본초)

◐ 신음을 보하며 머리칼을 검게 한다(본초구진론)

◐ 주로 강정,강장,완하,보간,거풍,모발조백,현훈,요슬허약,근골산통,유정,자궁출혈,만성하리,만성간염,나력, 옹종, 치질, 부인과 질병 및 산전산후의 온갖 병을 낫게 한다(동의보감)

◐ 머리칼을 검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얼굴 빛을 좋아지게 하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 만드는 법

◐ 약재를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말리거나(동의보감. 의종손익) 또는 술에 7일 동안 담갔다가 건져서 말려 쓴다(의종손익)

◐ 敾潁?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흑태와 함께 시루에 쪄 익힌 다음 말려서 쓴다(의방유취)

출처 및 자료정리 심마니 휴게소

적하수오의 모습






백하수오







적하수오는

일부 지역에서 자생을 하며

극히 드물게 자생하고 있으나

현제 약초꾼들의 채취로 멸종되어 가고있는실정 이다

적하수오의 재배를 실험단계 에서 성공한곳도 있다고 한다

앞으로 약초재배에 있어서 재배를 실시 한다면

수익 창출이 기대된다

 

[재배법]

적하수오 재배

앞으로 얼마되지 않아

야생 적하수오의 멸종이 될것같다

적하수오의 멸종을 막기위해

적하수오 재배로 적하수오의 맥을 이어줄

필요성이 있다

재배] 1, 기후와 토양: 토양이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에 적합하고 비옥하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이나 점토질 양토가 좋다.  

2, 정지: 약 30센티미터 깊이로 갈아 높은 밭두둑을 만든다.  1무당 외양간 두엄 또는 퇴비 5000킬로그램을 주어서 밑거름으로 한다.

3, 번식: ① 작은 덩이뿌리에 의한 번식법: 심는 시기는 2월 하순부터 3월 중순까지며 이랑 사이의 거리를 25센티미터로 하고 포기 사이의 거리를 15센티미터로 해서 깊이 6~10센티미터 되는 구멍을 파고 그곳에 뿌리줄기가 달려 있는 작은 덩이뿌리 1개를 넣고 5센티미터 가량 흙을 덮는다.

② 종자 번식법: 파종은 3월 상순부터 4월 상순까지하고 묘상의 너비는 100~120센티미터로 한다.  조파법은 이랑 거리를 10~15센티미터로 하고 얕은 홈을 파서 안에 씨를 고루 뿌리고 보드라운 흙을 1센티미터 덮은 다음 물을 뿌린다.

토양을 습윤하게 보존하면 약 20일 지나 싹이 나온다.  모의 높이가 10~15센티미터로 정식한다.

이랑 사이의 거리를 30~40센티미터로 하고 포기 사이의 거리를 20~30센티미터로 하여 심는다.

4, 경작관리: 싹이 나온 다음 적당한 시기에 땅을 갈고 김매기하며 물을 뿌린다.  봄, 여름 사이에 1무당 사람의 분뇨를 1000킬로그램 덧거름으로 준다.  덩굴의 길이가 30~50센티미터 자랐을 때 덕을 만들고 덩굴을 고정시켜 모가 성장하기 쉽게한다.  여름의 고운 다습 시에는 엽반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통퐁과 채광에 주의한다.  보르도액 (1:1:120)을 분무하여 예방과 치료에 사용해도 된다.

[채집] 심은 다음 3~4년 되는 봄, 가을에 파내어 깨끗이 씻고 양끝을 잘라 버린다.  큰 것은 절반으로 쪼개거나 두꺼운 조각으로 잘라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쪼이거나 삶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

자료정리 심마니 휴게소

출처 : [공식]♡귀농사모♡
글쓴이 : 유 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