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스크랩] 야관문 아십니까?

동곡 2005. 3. 24. 19:39

◈ 약성

양기부족, 음위증, 조루, 기침, 백일해, 뱀에 물린 데, 유정, 기침과 천식, 어린 아이의 빈혈증,
안질, 젖에 생기는 악성종기 등

◈ 야관문(夜關門)은 밤에 빗장문을 열어 주는 약초라는 뜻이니
이것을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 야관문은 이름 그대로 밤에 닫힌 문을 쉽게 열게 할 수 있는 약초다.

여러 가지 남성질병 곧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다.
2~3일만 복용하면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부작용이 전혀 없는 천연 비아그라의 효능을 지닌 약초로 알려졌다.

그러나 야관문을 그냥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차로 끓여 먹어도 마찬가지다.

※ 야관문은 반드시 술로 우려내야만 그 진가가 나타난다.

▶ 35도 이상되는 증류주에 야관문을 술양의 3분의 1쯤 넣고 3~6개월쯤 우려내어 한 잔씩 마신다.

오래묵일수록 좋지만 최소한 3개월은 되어야 약성이 우러나온다.

▶ 특히 신장기능이 허약하여 오는 노인들의 양기부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 식물의 줄기, 뿌리와 종자속에는 정유가 들어있어 여러종류의 세균에 대해서
억제하며 뿌리를 써서 수종(水腫)을 고치고 완화제나 해열제 등으로 쓰인다.

변비,두통,눈의출혈,곤충이나 뱀에 의한 교상(絞傷)에도 쓰이고 태독(胎毒)의 치료에도
쓰인다.

[약효 또는 용도] : 종자는 그가 함유하고 있는 성분에 의해 사하작용이 있는데
이는 emodin에 의한 작용이라고 하나 homodianthrone의 사하작용이 보다
강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망강남자는 간을 청하게하고 눈을 밝게하고 건위, 변통, 해독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전통적인 해석이고 또 그렇게 응용하고 있다.

중국의 약재학(藥材學)에서는 이 약이 천식을 치료하며 종자를 볶아서 응용하면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다고도 하였다

[특기사항] : 일본에서는 석결명(石決明)이라고도 불리우고 인도에서는 Kasondi로 불리운다.
중국의 복건중초약 (福建中草藥)에서는 산가피이라하고 남방주요 유독식물집에서는
대야명(大夜明), 야관문(夜 關門), 가결명(假決明)이라해서 시력과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생약의 이름을 중국에서는 산가피라고 부르는 곳이 있는데,

이 이름의 내력은 이 생약을 차대용(茶代用)으로 하여 왔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또 대관본초에서는 서주석결명(徐州石決明)이라했고 구황본초 (救荒本草)에서는
망강남이라고 했는데 이 이름이 오늘날 널리 통용되고 있다.

출처 : ♡歸農을원하는사람들의모임♡
글쓴이 : 원색 원글보기
메모 :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어성초 생 뿌리 ◎  (0) 2005.03.31
[스크랩] 꽃차 만드는법  (0) 2005.03.25
[스크랩] 쑥의 약효  (0) 2005.03.22
[스크랩] 청미래덩굴  (0) 2005.03.21
[스크랩] 조릿대  (0) 200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