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ttp://www.nces.go.kr/image/04-im08.gif) |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40_contents_title1.gif) |
|
과명 : 삼백초과
식물명 : 삼백초
학명 : Saururus chinensis(LOUR.)BAILL. |
|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40_contents_title2.gif) |
|
![](http://www.nces.go.kr/image/40_2nd_icon.gif) |
파종에서 수확까지 아래의 도표에서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
|
![](http://www.nces.go.kr/image/04-gra08.gif)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40_contents_title3.gif) |
|
|
제주도 협재 근처의 습지에서 자생하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며 백색의 뿌리줄기가 진흙 속을 옆으로 뻗어간다. 6~8월에 백색의 꽃이 피는데, 삼백초라는 이름은 꽃과 뿌리가 백색이고, 꽃필 무렵이면 줄기 끝에 달린 2~3개의 잎이 희어지게 되는 데서 유래하였다. 여름철 기온이 선선하고 강우량이 풍부한 지역이 재배 적지이며, 토양수분이 충분하고 유기물함량이 풍부한 비옥지로 보수력이 양호한 사질양토, 양토 또는 식양토가 좋다. 겨울이 추운 지방에서는 11월 상순경 비닐 또는 짚으로 덮어 추위를 막아야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다. |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04-font21.gif) |
|
|
뿌리줄기로 번식하며, 심는 때는 4월 상·중순이다. 종근으로 쓸 것은 심기 2~3일 전에 캐서 하위는 2~3절, 중위부는 3절, 상위부는 7~8cm정도씩 자른다. 정식 10일 전 10a당 퇴비 2000kg, 요소 15kg, 용과린 15kg, 염화칼륨 10kg정도를 균일하게 뿌리고, 밭을 갈고 로타리하여 흙을 잘 고른다. 너비 40~60cm로 고랑을 만들고 포기사이를 20~25cm로 종근을 놓고 2~3cm두께로 흙을 덮는다. 파종 복토 후 흑색비닐로 피복하면 잡초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생육에도 좋다. |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04-font13.gif) |
|
|
싹튼 후에 수시로 제초하고, 가뭄이 심하면 물을 준다. 장마철에는 침수가 되지 않도록 배수로를 만들고, 비닐 피복을 하지 않았다면 짚이나 낙엽 등을 피복하며 잎에 흙이 튀지 않도록 한다. 생육정도에 따라 추비한다. | |
|
![](http://www.nces.go.kr/image/40_1st_icon.gif) |
![](http://www.nces.go.kr/image/04-font06.gif) |
|
|
심은 해 가을 9월 하순~10월 상순이나 다음해 꽃이 피는 6월 하순~7월 상·중순에 수확한다. 녹즙용은 생육기간 중 수시로 수확한다. 자연건조는 잎의 색깔이 변색되어 품질이 저하되므로 35℃에서 6~7시간 건조 후 40℃로 올려 잎이 마를 때까지 건조하고 줄기는 45~50℃에서 건조하여 갈무리한다. 비닐 봉지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하면 부패와 변질을 막을 수 있다. 뿌리줄기는 캐서 흙을 씻어내고 뜨거운 물에 수분 동안 담았다가 꺼내 햇볕에 말린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