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nhwaarts.com/~kns7666/origial/08aa/images/709301.jpg)
인진쑥 <사철쑥> 학명 : Artemisia capillaris Thunb.
과명 : 국화과 생지 : 물가의 모래땅, 산야 저지대에 난다. 성분 :
茵蔯蒿(어린 莖葉)- 利膽作用성분인 scoparone 을 6,7-dimethoxycoumarin함유.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精油( β-pinene, capillin, capillone, capillene, capillarin). 脂肪油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ic acid,
montanic acid), 염화칼륨 분포 : 일본, 중국, 만주, 대만, 필리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약효 : 어린 순을 식용. 茵蔯蒿(어린 莖葉)- 淸熱, 利濕의 효능. 濕熱黃疸, 小便不利, 風痒瘡疥)를
치료. 風濕寒熱邪氣, 熱結黃疸을 치료.
개화 : 8~9월, 황색 번식 : 실생, 분근 유사종 : 털산쑥, 흰산쑥, 더위지기,
맑은대쑥, 참쑥 특징 : 두상화서 가운데의 양성화는 열매를 맺지못한다. 영월에서는 인진쑥이라
부른다 속명 : 면인진. 인진. 야호. 소백호. 황화호. 미채호. 인진초. 문자소. 더위지기. 다북쑥. 비쑥. 애탕쑥
분포지 : 전국의 낮은 지대 냇가의 모래땅이나 길가의 빈터 개화기 : 8 - 9 월 (포자)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9 - 10 월 높이 : 30 - 100 cm 특징 : 처음에는 연한 털로 덮여 있고 더부룩한 포기를 이룬다.
밑부분에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처럼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용도 :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능 : 지상부의
줄기와 잎 또는 풀 전체 말린 것을 해열. 두통. 풍습. 이뇨. 활달. 개선. 타박상. 창질. 안질. 세안. 학질. 관절염. 발한. 명안.
소염. 이뇨등의 약으로 쓴다. 해열. 항균. 항진균.. 지질저하. 이담작용.
![](http://sunhwaarts.com/~kns7666/origial/08aa/images/709302.jpg)
![](http://sunhwaarts.com/~kns7666/origial/08aa/images/709303.jpg)
![](http://sunhwaarts.com/~kns7666/origial/08aa/images/70930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