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스크랩] 헛개나무와 옻나무..공급(판매)함....

동곡 2006. 8. 9. 23:30

저희 마을은 덕유산 북녘 거칠봉아래 있습니다..(약 1170 미터).

 

그래서 많은 약초와 고사리, 버섯등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저는 원래 약초에 관심이 많고..그분야를 어찌좀 해보려 하는데..당장은 좀 어렵군요..

 

그렇다구..마구잡이식으로 싹슬이 허는 채취는 제 취미와 성미에 맞질 않고......

 

한그루 심어야 한그루 채취하는 방식을 고수하려 하는데..그게 어떨지....

 

그러니 채취자체두 많이 못할거 같지만..해여튼 이번엔 ....윗마을 청년이 채취한..자연산

 

헛개나무와..참옷나무를 여러분들께  ...공급하고자합니다..

 

마니 마니 필요하신분들..주문하시기 바랍니다... 허기사 많이 있지두 않지만 서두..

 

두가지 다 .... 길이는  10-20 센치로 잘라서..두께는 손가락 두개 정도전후 됩니다..

 

이것은 잘게 뽀갠것이라서 안말려두 될겁니다..다만..습한곳이나..바람이 전혀 안통하는곳은

 

피하시거나..가끔 통풍시키시길.....제가 자알..말린것이지만서두..나무라서 습기찰 우려는

있습니다.

 

먹는거는 제가  아직 이분야에 많은것을 알지 못하는고로..아래에 주어온것들이 있으니 참고하시고..

 

가격은

 

헛개나무는  5 키로에 25000원, 10 키로에 5만원 .

옻나무는  5키로에 30000원  10 키로에 6만원에 공급하겟습니다..

 

두구 두구 드십시요...

 

일반 시중에서는 대개..이 두가지다..대충 큰 한주먹(길이30센치전후)에 3천원 전후 하는거같던데..

 

하여튼 시중가격보다야  싼거야 사실이겟죠.....

 

저두 도울겸..이 산골마을사람들  도울겸 그리구 본인들에게 도움될겸...필요하신분 메일이나

전화 (전화가 이즈음 이 산골에 자주 끊기구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많으니 양해 바랍니다.)

 

집전화 063-322-5430,

손전화 017-232-5437

 

통장번호

국민은행 064-21-0737-107,김양환(노송)

 

이메일   kenny22@hanmail.net

 

감사합니다.....

 

이하  아래 참고사항...

 

 

이하는 hutgenamu.com/sense.htm  에서 주워옴...

보리차 대용으로 할 경우에는 잎,줄기 양을 조금 적게 넣고 40분정도 달여서 냉장고에 보관 하면서 수시로 드십시오.

1. 헛개나무 잎,줄기 40 ~ 50g을 준비한다 ,
(열매일 경우에는 30 ~ 40g을 준비한다 )
2. 동봉한 약초 달이는 주머니에 헛개나무 잎,줄기(또는 열매)를 넣는다.
3. 주전자 물 1되정도(1.8L)에 약초를 담은 주머니를 넣는다.
4. 센불로 달이다가 물이 끓으면 약한 불로 약 2시간 정도 달인다.
(주의할 점은 주전자 뚜껑을 닫고 달일 경우 약물이 넘칠 우려가 있으므로 어느 정도 물이 끓을 경우에 뚜껑을 열어놓고 달인다.)
5. 다 끓으면 주머니(헛개나무 잎,줄기)를 건져내고 식혀서 시원한 장소나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하루에 2 ~ 3회, 또는 수시로 드십시오.



 

 

끝.

***************************************************************************

 

 

 

           헛개나무

 

                                                헛개나무 잎                      

 

 

               지구자

 

우선 헛개나무에 대해서 대강 알아보고 부작용이 있을까 없을까를 알아보기로 하죠.

 

 * 헛개나무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생하는 잎이 뽕나무 처럼 생긴 나무로, 초여름 6월부터 7월 사이에 꽃을 피워 10월 경부터 열매를 맺고 11월 경에 열매가 익습니다.

열매 모양은 닭의 발가락처럼 특이하게 생겼고 성질은 차고 단맛이 나며, 산호처럼 생겨서 목산호, 현포리, 백석목, 지구자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의 약효는 간, 대장, 위, 신장에 좋으며, 특히 "본초강목", "당본초" 등에 술독을 푸는데 신효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술에다 헛개나무의 열매나 건재한 약을 달여 술과 섞으면 금새 술이 묽어지는 것을 알수 있을 정도이고 그로서 술을 마시기 전에 헛개나무 달인 물을 복용하고 술을 마시면 평소량의 두세배를 마셔도 취하지 않는다 합니다.

술로 인한 간경화, 지방간 등의 간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이고 염증치료,관절염의 치료에도 다른 약재와 병행하여 쓰면 좋습니다.
술을 깨고 나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구토증세가 날때 헛개나무 달인 차를 마시면 회복이 빠릅니다.

 

그럼 이제 헛개나무의 부작용을 점검해 봐야겠습니다.

헛개나무가 어떤 나무이며 그 효과가 어떤가는 위에서 대강 확인하셨을 줄 압니다.

위의 설명에서 헛개나무는 간(肝)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이의 간병을 치료하느냐?

헛개나무의 성질이 차가운 것이라 했으니 어째서 헛개나무가 약이 되는가?

그 차가운 성질로 뜨거운 간을 차갑게 해주는 약이라 아시면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간이 차갑다든가 위가 차가운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면 이 약은 오히려 차가운 간을 더욱 차갑게 하여 해로움을 줄수도 있는 것입니다.

부작용이라면 바로 그 것이 부작용을 낳게 만드는 것이죠.

그래서 간에 좋다고 헛개나무를 약으로 썼다가 더 나빠지는 사람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결론은 여태 들어보면서 이상이 없으면 맞는 것이니 과용만 안하시면 될 것이고, 그러나 다른 약재와 함부로 섞어써서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하는 헛개랜드 자료입니다.(hutgeland.co.kr)

 

 

헛개나무는 매년 결실을 맺는 밤이나 감,대추나무등과 달리 매년 열매가 달리지를 않고 3년 또는 4년의 해걸이를 합니다.

15년이상된 헛개나무에서 열매가 달리는데 결실은 거의 잘 안되고, 20년이상된 나무에서 결실되는 확률이 많습니다.
헛개나무 자체가 다른 나무에 비하여 단단하고 강하다 보니 바람이 좀 심하다보면 쉬 부러지고, 모든 나뭇잎들이 왕성할때 그때서야 잎을 틔우기 때문에 열매에서 결실까지의 고난이 심한 나무라 생각합니다.
3년 또는 4년의 해걸이를 하다보니 한 곳에서 계속적으로 열매를 맺는것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역과 지형의 특성에 따라 번갈아 가며 열매가 열립니다.그 열매자체도 비바람이 많이 부는 해에는 결실의 양이 적게 달립니다.

결실을 이룬 나무는 다음해 3월까지 가지끝자락에 붇어 겨울내내 조금씩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헛개열매를 가장 좋아하는 동물은 노루,고라니입니다.결실된 곳에서 겨울에 열매를 채취하러 다니다 보면 노루나 고라니가 다닌 길을 따라갑니다. 그러면 헛개열매를 채취할수 있습니다.그 곳에서 겨울내내 자리잡고 떨어지는 열매를 주워먹습니다.

해토되는 3월경에는 토끼,너구리,등도 떨어지는 열매를 주워먹습니다. 채취할때는 생열매로서, 시중에도 거의 생열매로 판매하는곳이 많습니다. 생물은 오래보관이 힘들기 때문에 많은양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건조하여 판매합니다. 건조하면 수입으로 들어오는 중국산과 구별이 힘들지요.

약초꾼이 아는 상식으로는
첫째 올해것이 아니라 별로 보기가 좋지 않습니다.
둘재 생열매를 약탕기든 주전자든 끓인 후 말려 놓으면 그것과 같다는점.
셋째 전혀 윤기가 없다는 점입니다.


생열매는 방역처리가 되지않아 수입이 들어오질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시중에서 10월에서 다음해2~3월까지는 말린것보다 생열매를 사셔서 집에서 말리시면서 끓여드시는 것이 좋다 생각이 듭니다.

헛개나무잎은 산행할시 언듯보시면 오리나무잎이나 뽕나무잎으로 보입니다. 밑에서 위로 쳐다보면 유난히 잎사귀가 벌레에 많이 갈쿼져 있는것을 보실수있을것입니다. 어느 지역으로 들어서면 유난히 벌소리가 많이 들립니다.

고개를 드러 보시면 그나무가 헛개나무인데 꽃을 피울때부터 결실이 맺혀서까지 .....

 

*****************************************

 

이하는 헛개나무농장에서 퍼옴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10~17 m이고 수피(樹皮)는 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芽鱗]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길이 8~15 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에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자웅이주로 6~7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양성화(兩性花)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이다.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果莖)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헛개나무는 건축재 ·가구재 ·악기재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강원과 황해 이남)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헛개나무가 약용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다 똑같이 쓰이는것은 아니다.
헛개나무 중에서도 열매는 한약명(지구자)약명(천연해독제)가 으뜸으로 쓰이는데 열매와 열매사이에 있는 부분을 열매자루라 하기도 하고 열매다당체라고도 한다.
열매(지구자)를 제외한 모든 부분 잎.가지.목질 부위는 지구목,지구잎이라고도 하고 목질부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열매다당체(polysaccaride)로서 단맛과 신맛(고형분 35~45Brix%)이 난다.
부위 중 열매가 으뜸이고, 그 다음은 잎(3~5Brix%)이며, 그 외의 가지, 껍질, 목질부위는 농도가 아주 낮아 숙취에만 어느 정도 유용할 뿐이다.



헛개나무성분
과당, 설탕, 포도당, 카탈라제, 페록시다제 등의 당분이 13%, 칼륨, 칼슘, 철 등 미량 함유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호베니산 루틴, 사포닌 함유(의학사전)에 보면 헛개열매(지구자)의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고 심경, 비경작용, 갈증해소, 번열을 없애며, 목을 풀고, 대·소변을 잘 볼 수 있게 하여,
예로부터 민간약으로 간에 쌓인 독을 푸는데 쓴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술을 마시고 나서 숙취로 인하여 구토가 나고 목이 마르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헛개나무열매 를 넣고 달인 차를 한 잔 마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 술이 깨고 숙취도 없어진다.
그 느낌이 눈부시게 빨라서 헛개나무열매 를 달인 차가 목에 넘어가는 그 순간 머리가 시원해진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이다.
냄새 :구수하고 향기롭다
맛 : 달콤하면서 약간 신맛이 있고 구수하다
성질: 평하다

헛개나무형태
키 : 20m 지름 1m 넘게까지 자람
잎 : 넓은 달걀모양, 산뽕나무모양
꽃 : 6월에 흰 꽃이 핌 -
열매 : 10-11월 과경RMx에 열림. 지름은 8mm, 색은 갈색이며 대추씨를 닮았다.
껍질 : 단단하고 윤이 나며 약간 납작함 -



헛개나무보도내용
1, 1997년 7월 강원대 식품공학부 연구논문(헛개나무의 생리활성탐색)
2, 2000년 3월 16일자 주간 한국 (헛개열매(지구자)를 주원료로 하는 음료 남녀 노소 누구나 음용할 수 있다.)
3,2001년 2월 20일자 매일경제 (헛개나무에서 간염 물질 추출 성공, 임업연구원내 실험실벤처 생명의 나무 대표:나천수 박사)
4, 2001년 2월 26일자 MBC 9시 뉴스(헛개나무 열매로 간염: 이언주 기자)
5, 2001년 2월 26일자 SBS 8시 뉴스 (헛개나무 일명, 벌나무로 불리는 우리나라 특산종 나무에 간염 물질이 추출됨: 김성일 기자)
6, 2001년 9월호 산림)헛개나무의 특성과 약리)
7, 2001년 9월 4일자 MBC목포 아침뉴스 (헛개나무 대량재배, 해남군 옥천면의 한 농가: 박영훈기자)
8,2001년 10월 12일자 해남신문(신비의 약초 헛개나무 상품화)
기사 내용이 22가지에 이르지만 식품법상 올릴수 없음을 양해바랍니다.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메일주세요.

헛개에 대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은 헛개 이런점이 궁금해요 단추를 클릭해 보시면 더 상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http://www.op44.com/sang/sub2.html

 

 

***************************************************************************

****************************************************************************

 

이하는 옻나무에 대한 자료임...

 

요리방법.
1.옻계탕
천하무적 1병 + 닭1마리 + 대추(적당히) + 밤 + 인삼 + 황기
+ (넣으시면 더 좋고 : 통양파, 소금 밑간)
압력솥에 끌여 먹고 그 국물로 죽도 끌여 드시면 더 맛있게 드실수 있읍니다.

2. 돼지갈비
천하무적 + 양념 + 돼지갈비
양념시 적당량을 섞어서 재어두었다가 드시면 고기 특유의 냄새도 안나고 고기도 연해서 맛있게 드실수 있읍니다.

3. 옻영양밥
쌀 + 천하무적(밥물의 1/2)
♣ 옻닭을 만들려면... (재료:중닭 1마리, 옻나무껍질 100g, 통마늘15쪽, 굵은파 1뿌리, 물)

1) 닭의 내장을 빼어 깨끗이 헹구고 옷나무 껍질도 물에 한번 헹구어 준비한다.
2) 내장 뺀 닭 뱃속에 옻나무 껍질과 통마늘 넣고 잘 아물린 다음 솥에 안친다.
3) 푹 잠기도록 물을 부어 푹 끓인다. 닭이 다 삶아지면 굵은파를 어슷썰어 넣고 조금 더 끓인다.

한방 옻닭
참옻(건칠)200g + 닭+ 대추+ 밤+ 인삼+ 황기

한방 옻불고기
참옻(건칠)삶은물 + 양념 + 불고기

한방 면류(소면,냉면,수제비,칼국수,만두피 등)
참옻(건칠)삶은물 + 밀가루 + 기타재료첨가

그밖에 오리탕, 보신탕, 옻족발, 편육등의 요리로 해서 드실수 있읍니다.
*** 육류등을 재우실때 저희제품에 담가 두었다가 건져낸 후 물기를 빼고 양념하시면 고기가 부드럽고 맛이 있읍니다.
오리불고기, 편육, 족발등에 사용해 보세요 ***

※ 옻밥, 옻 영양밥 조리법
1. 쌀을 씻어서 30분정도 불린다.
2. 평소의 양보다 물의 양을 적게 붓는다.
3. 옻물을 한컵정도 넣어서 밥을 짓는다.(3~4인분기준 150ml~200ml)
◎ 특징 : 약밥처럼 쫄깃쫄깃합니다. (백미보다 잡곡의 경우 더욱 맛이 좋습니다.)

※ 옻 계탕, 옻삼계탕, 옻오리탕 조리법
1. 토종닭 한마리에 옻액을 500ml~1,000ml에 물을 1,000ml~500ml붓고 천일염을 1/2 TS 넣고 압력솥에 17~20분 간 끓입니다.
(例: 옻액1000ml + 물500ml, 옻액 700m l+ 물800ml, 옻액 500ml + 1000ml)
2. 요리에 마늘,생강,은행,밤,대추등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익힌 후 약한불에서 끓이면서 드시면 좋습니다.
3. 남은 국물은 불린 찹쌀을 넣어서 죽처럼 끓여서 후식으로 드십시오.
◎ 특징 : ① 닭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사라지며, 고기가 부드러운면서도 쫄깃쫄깃하여 집니다.
② 닭,오리 한마리에 1.5L원액한병으로 요리하여 드시면 가장 좋습니다. 다만 어린이들과 함께 먹을때는 물을 첨가하여 드시면 좋습니다.

※ 옻 해물탕 조리법
1. 생선을 손질한 후 옻물에 잠시 재워둡니다.
2. 매운탕 재료를 냄비에 넣고 생선과 생선을 재웠던 옻물을 같이 넣고 물을 붓고 끓이면서 양념장을 넣어 간을 맞춥니다.
◎ 특징 : 생선을 옻물에 재워서 매운탕을 끓이면 생선살이 부서지지 않고 생선 비린내도 나지 않아 담백한 매운탕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옻 불고기 조리법
간장과 옻물을 1:1로 넣고 파,마늘,양파등 갖은양념을 넣은 간장양념장에 12시간정도 재워서 숙성을 하면 고기특유의 누린내도 없으며 육질이 부드럽고 쫄깃하여 매우 맛이 있습니다.
◎ 특징 : 비계부위가 쫀득쫀득하여 집니다.

※ 옻 삼겹살 조리법
옻물을 고기가 잠길정도로 붓고 12시간정도 재워서 숙성시킨후 구워드시면 돼지고기 누린내도 없어지고 담백하고 부드러운 고기맛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옻 족발 조리법
찬물에 족발을 담궈서 핏물을 제거한후 고기에 칼집을 넣어 물과 옻물의 비율을 1:1로 하여 삶는다.
옻물은 뼈 감자탕을 해 드시면 더욱 좋습니다.

※ 옻 편육 조리법
찬물에 고기를 담궈서 핏물을 제거한후 고기에 칼집을 넣은후 압력솥에 옻물만 붓고 고기를 넣어 30~40분간 삶아서 건져냅니다. 옻물은 뼈 감자탕을 해 드시면 좋습니다.

※ 음용방법 : 식전,후 관계없이 1일 150ml~200ml씩 1~2회 음용하십시오.(소아는 성인의 1/2 음용)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