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 머리말
꿀벌을 서양에서는 행복의 사자. 벌집을 농가의 돈주머니라고 불리었으며 중국에서는 벌꿀을불노장생의 영약이라 하여 옛부터 진귀하게 여겨왔다.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재래종벌은 "토봉" "토종벌" "한봉"등의 이름으로 사육되어 왔으며 고구려의 동명성왕 시대에 인도로부터 중국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토종꿀은 양봉꿀보다 성분과 영양가 면에서 월등할 뿐 아니라 옛부터 환자의 병후 회복과 노약자에게 한방제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부유층의 보양 강장 스테미너 식품으로 즐겨 이용되고 있다. 물론 적지선정(밀원부족), 생산된 토종꿀의 판매, 최근에 부쩍 늘어나고 있는 양봉의 피해, 농약피해 등 제약요인이 없는 것은 아니나 아침 저녁의 여가를 이용하여 30∼40통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1군당 1∼3되의 토종꿀을 생산한다면 적게는 200만원에서 최고 899만원까지의 소득을 올릴 수 있어 산간지의 농가부업으로 권장해 볼 만한 사업으로 생각된다.
Ⅱ. 꿀벌의 생태와 습성 양봉이건 재래봉이건 꿀벌의 생태와 습성을 응용하여 인간이 필요한 생산물을 얻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꿀벌이 지닌 고유의 생태와 기능 집단생활의 습성을 과학적으로 파악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1. 봉군 구성 또는 어느 시기에만 생기는 수백∼수천마리의 숫벌로 구성되며 소미, 저멀, 화분, 알, 봉아 등이 필수적이다. 저장낭에 저장하였다가 평생 150만개 정도의 알을 낳으며 교미 후 분봉 외에는 벌통을 나가지 않는다. 수명은 유밀기에는 1∼2개월 겨울철은 4∼6개월 정도이다. 1주일부터 2주일 사이의 벌들은 밀납을 분비하여 벌집을 만들고 왕유를 분비하며 온습도와 환기조절기능을 수행한다. 2주일 이상된 벌들은 꽃과 꽃가루수집 수지와 물 수집 등 야외작업을 전담하고 늙은 벌은 외적 침입방지와 숫벌 수량조절 임무를 맡는다. 2. 꿀벌의 습성 3. 꿀벌의 온도반응 Ⅲ. 재래종 벌의 특성 인도가 원산지고 중국 일본 기타 아시아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토종벌이 여기에 속하며 성질이 온순하며 분봉력과 월동력은 강한 편이나 서양종에 비해 근면하지 못하고 봉군의 도망이 잦은 것이 결점이다. 여왕벌의 몸길이는 13∼17㎜ 숫벌은 12∼13㎜ 일벌은 10∼13㎝이고 어린 벌은 담황색이나 늙으면서 흑갈색으로 변하는 소형종이다. Ⅳ. 토종벌 사육기구와 설비 1. 소 상 수천년 동안 같은 크기에 똑같은 종류로 발전하지 못했다. 현재 토봉을 키우는 대부분의 사육주가 사용하는 것은 물론 산속 바위밑등에 토봉이 분봉 나온 것이 살기 좋은 곳을 찾다가 들어가서 살도록 설치한 설통도 대부분이 이 재래봉상을 사용한다. 내부는 22∼25㎝(1뼘정도)로 둥글게 파서 내부에 벌집을 짓고 저밀과 산란을 하도록 만든 것이다. 통풍을 위하여 하부를 돌로 고여서 높여 주어야 하고 상부에는 뚜껑을 만들어 덮어야 한다. 봉상제조에 쓰이는 나무는 밤나무, 소나무, 박달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등이 쓰이며 가능한 곧고 틈새가 나지 않은 재목이 유리하다. 여름철 소초가 녹아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청개다를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소문을 만들어 벌들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내부가 불결하고 틈이 많아 소충이 잘 생기고 관리에 불결한 것이 흠이며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설통은 옛날부터 산별을 받기 위하여 산에 설치하는 재래봉상으로 벌이들어 꿀이찬 가을에 벌을 모두 죽이고 꿀을 채취하는 것이다. 양봉소상보다 규격이 적고 소광 소초등 토봉전용 벌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주로 벌꿀 생산형으로 개꿀 생산불가). 기타 관리기구로서는 매선기 격왕판 채밀기 훈연기 복면포 훈연기 밀도 하이므를 사양기 왕릉 화분채취기 Ⅴ. 꿀벌의 번식 1. 분봉과 봉군증식 나무에 딸기모양으로 뭉쳐서 붙게 되는데 이것을 1차분봉(첫배 또는 맡배)이라고 한다. 토봉의 관리중 가장 중요한 일과가 분봉된 벌을 놓치지 말고 잘 받아서 벌통수를 늘려 나가는 일이다. 2. 분봉의 순서 3. 분봉의 시기와 시각 4. 분봉군의 수용 받아둔 벌도 소상이 나쁠 때는 도망군이 생기기 쉬우니 주의하여야 하 나무 위에 붙은 벌뭉치는 전년도에 집을 지었던 소상 뚜껑에 여왕이 올라 붙으면 새로운 소상에 넣어서 안치시키면 된다. 제1회 분봉때 집을 지을 조건이 나빠도 도주하니 해질무렵 조소사항을 실시하며 특히 주위에 설통은 도망군 발생의 주요원인 되니 반경 4㎞ 이내 설 통을 없애는 것이 좋다. 또한 가까운 곳에 활엽수 나무가 없으면 참나무 껍데기 고목의 나무혹 등을 높은 곳에 설치하면 이곳에 분봉군이 잘 뭉친다. Ⅵ. 봉군의 일반관리 1. 봉장선정과 개설 사육의 적지는 토봉 보호구역내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양봉이 사육되는 곳이나 오이 채소 등 주산지로 농약 살포가 심한 곳 냄새 먼지 등이 많은 곳 밀원이 부족한 곳 등을 피해서 조용하고 깊은 산속에 아카시아 밤 싸리 피나무 메밀 등이 많은 장소가 좋다. 벌통을 한 지역에 다량 비열시에는 3×3m정도 넓게 배열하고 산밑이나 울타리 주변 돌담 밑 등에 3m정도 간격으로 배열하면 된다. 2. 봉군의 취급법
야간에 설통을 보자기로 싸서 소비가 무너지지 안도록 잘 다루어 이동하며 장거리 이동시는 청개다리 유무 소상의 질등을 고려하여 이동봉군을 선정한다. 3. 사료급여법 흑설탕은 냄새가 심하여 도봉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백설탕을 부피로 설탕1:물1의 비율로 완전히 풀어서(이때 물대두 1두당 소금20g 마이신 2개)해가 진 다음 사양기나 그릇에 급여한다.(이때 볏짚을 잘라서 띄워준다.) 자연수집 벌꿀만으로는 월동이 불가능할 때(사양시기:채밀 후 즉시)내검해서 벌이 기아상태일 때 분봉해서 기후가 불순할 때 기타사료가 없이는 폐망에 이르게 될 때만 급여해야 한다. Ⅶ. 봉군의 계절관리 1. 봄철관리 이른 봄철에는 특히 벌의 움직임으로 먹이유무를 측정하고 기아상태라면 급이한다. 이른 봄부터 소중 쥐석개 거미 개미 등의 제거에 주력한다. 2. 여름철의 봉군관리 장마로 인하여 먹이 부족시 급여하고 도봉관리와 양봉의 내습 등에 대비한다. 양봉의 재래봉상 습격(밀원이 없는 9∼10월에 많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봉 화분 채취기를 설치하고 망사 등을 이용 소상 밑의 공간을 막아주면 토봉은 자유롭게 드나드나 양봉은 들어갈 수 없게 된다. 3. 가을철의 봉군관리 소문을 줄이고 높였던 소상을 설치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소문을 줄이고 높였던 소상을 원위치하며 틈이 난 소상을 진흙 등으로 잘 발라준다. 가을철에는 번식과 저밀에 유의하고 채밀은 9하∼10월중순까지 끝내야 월동에 지장이 없다. 4. 겨울철의 봉군관리 월동포장은 11월중순부터 서리가 내리고 기온이 떨어지면 가마니 볏짚 헌옷 덕 5. 도봉 방지법 도봉이 일어나면 우선 싸움이 일어나므로 이런 때는 도봉 발생으로 간주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방지법은 우선 싸우는 벌에다 물을 조금씩 뿌려주고 쓸데없이 소문을 넓게 열어두지 말고 벌이 2∼3마리만 다닐 수 있게 소문을 좁혀주면 차차 식어간다. 도봉은 무밀기 때와 겨울철 날씨가 따뜻하면 나와서 도봉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Ⅷ. 꿀과 생산물의 처리 1. 꿀 일반적인 꿀은 원칙적으로 1년에 1회 9월하순∼10월중순경 소상 상단에서부터 겨울먹이를 고려하여 과도나 밀도 수저 주걱 등으로 개(소비)채로 떠내서 대바구니 밀려기 등에 놓고 따뜻한 곳에 두면 꿀이 모두 흘러내린다. 개꿀은 고급나무상자에 포리에치렌 튜브에 포장하여 상자에 넣고 품질보증서와 개꿀 채밀 설명서를 넣어서 판매한다. 판로는 개인적으로 팔아야 하기 때문에 고객 확보가 문제이나 서울 친척 인구주민 한약방 슈퍼마켓 백화점 등에 꿀 또는 개꿀로 판매되고 있으며 적어도 3년 정도만 계속하면 서서히 고객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87년 현재 꿀의 시세는 대두1되(2.4㎏)에 80,000∼120,000정도이다. 2. 기타 봉산물 Ⅸ. 밀원의 확보 우리나라의 주요밀원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주요밀원 2. 계절별 주요밀원 여러 가지 꽃이 만발하여 어느 지방에서나 일찍이 피는 것은 매화나무, 내버들, 전나무 등이며 매화는 너무 일찍피는 고로 많은 꿀과 꽃가루를 완전히 채집할 수 없고 버들과 전나무는 많은 꽃가루를 채집하게 한다. 재배식물로는 자운영 다음에 무, 배추, 겨자, 원두 등이 중요한 것이 되고 또 고상한 꿀을내게 한다. 과수류에서는 살구, 벚꽃, 복숭아, 자두, 앵두, 배 등이 있으며 벚꽃은 화기가 짧은 것이 결점이 되고 복숭아, 사과, 자두 등은 꽃철이 길고 이중에서도 사과꽃이 가장 유력하다. 개자리는 꽃철이 짧은 것이 결점이다. 먹구슬나무도 비교적 유력한 밀원이고 원예식물 중에서는 금잔화, 톱풀, 과꽃 등이 약간의 꿀을 낸다. 오동나무도 어느 정도의 꿀을 내고 오이, 호박, 가지, 콩, 팥, 번디 등도 있다. 오이와 호박은 가장 벌들이 많이 모이고 옥수수는 많은 꽃가루를 내나 이 시기의 밀원은 여름을 넘기는데 필요한 유지식량 확보에도 힘들 지경이다. 산악지방에는 각종 화초와 고산 식물들이 꽃을 피우기 시작하므로 벌떼의 유지에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또 국화는 많은 꽃가루를 낸다. Ⅹ. 꿀벌의 해충구제 1. 소 충 3. 꿀벌 진드기 산란 2일 후에 4쌍의 다리를 가진 어린 형태의 진드기가 되어 번데기 성충에 기생하여 체액을 흡수하여 벌과 함께 발육된다. XI. 토종벌 소득과 경영고찰 1군당 2통씩 분봉이 가능하여 원봉군과 합하여 40∼60군을 증식 시킬 수 있으며 가을에 1군에 1되의 꿀을 채밀한다면 80,000×50군=4,000,000원 분봉으로 증식된 종봉 20∼30군×군당60,000=1,200,000원∼1,800,000원 모두 5백∼6백만원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 부업으로 처음 구입비 1,200,000∼2,000,000원을 투자하여 5백여만원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면 이보다 알찬 소득원은 많지 않으리라 본다. |
'벌기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토종벌 설통 설치를 위한 벌통제작 번개 (0) | 2007.03.09 |
---|---|
[스크랩] 야생 토종벌..... 그리고 꿀 얻는 방법[1] (0) | 2007.03.09 |
[스크랩] 꿀의 효능 (0) | 2006.10.06 |
[스크랩] 꿀 에 효능 (0) | 2006.08.26 |
[스크랩] 이런 구경 해 보셨나요 (0) | 2006.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