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枸杞子)의 효능
구기자에 함유된 베타인은 인진쑥,미나리의 12배나 되는데 베타인은 숙취나 알코올 해독에 특효라고 합니다. 또한 베타인은 지방간 치료제의 주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입니다.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고 신허증을 개선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구기자의 성분에는 중독성이 있거나, 전문의약품에 사용되는 중요한 성분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영양성분만 들어있기 때문에 어느누구나 많이 오래 드셔도 관계없는 '상약(上藥)중의 상약'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한방에서 약용으로 널리 사용한다. 구기열매로 술을 빚은 것을 구기주라 하는데, 매일 한두 잔씩 마시면 혈색이 좋이지며 건강에 좋다고 한다. 옛부터 정(精)을 늘리고 양(陽)을 돕는다 하여 강장제로 전해지며 구기주와 구기차는 불로장수의 명약으로 알려져 왔다. 7월부터 붉게 익어 7∼11월 하순에 수확한다.
종류는 재래종을 비롯하여 청양종, 일본과 중국에서 들여온 일본1호·중국1호 등이 있다. 충청남도 청양·보령·공주·홍성 등지와 전라남도 진도·해남에서 주로 재배하며, 일본·중국에서도 생산한다. 흡수가 빠르다.
한방에서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다. 술을 담그기도 하는데, 허약체질을 보하는 강장제로 알려져 있다. 술을 조금 섞고 설탕을 넣어 잼을 만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진도산을 최고로 친다.
여름에 작은 보라빛 꽃이 피고 열매는 타원형 액과로 빨갛게 익으며 광택이 난다.
한편 구기자나무의 뿌리껍질을 지골피라하는데 이 역시 약효가 뛰어나 지골주로 담가 먹기도 한다. 간세포의 재생력을 촉진 시킨다.
예로부터 불로장수약으로 알려진 구기자는 한방이나 민간약으로 자주이용되어 왔지만 만병통치약으로 오용되는 경우도 많았다.
모혈작용과 함께 콩팥의 기능을 높여주고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며, 불면에 쓰일 때에는 과색으로 허탈된 콩팥의 기능을 높여주므로 간접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면역증강물질의 생산, 조혈작용, 생장호르몬의 촉진작용, 콜레스테롤의 침착 제거, 간지방 분해, 혈액내의 혈당을 감소시킨다.
신경쇠약, 시력감퇴, 정력감퇴에도 효과가 있으며 최근 중국의문헌에 따르면 해열 기침방지는 물론 피로회복에 탁월하다고 한다.
잎과 열매는 차나 술을 담그며 (잎은 늦은 봄 잎이 연할 때 따서 씻은 뒤 채로 썰어 3~4일 정도 말려 두었다가 녹차 먹듯이 복용하면 된다.) 잎으로는 나물을 무쳐 먹기도 한다. 권태감이 있을 때 위의 방법을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본다. 수험생들에게는 총명탕의 역할을 할것이다. 눈이 캄캄하여 진다.그리고 힘이 빠지고 권태감이 생긴다.
구기자에 하수오 원지 산수유 복령을 합하여 사용하면 혈압이 내리는 효력이 있고 배합하여 사용 하면 부정맥을 개선 한다.
구기자에 석괵 결명자 숙지황 자석을 가미 한다. 수시로 복용 하면 얼굴이 동안이 된다.
구기자 인삼 육종용 토사자와 배합하여사용 하고 산수유 금앵자 연꽃을 더 배합하면 유정과 조루를 없앤다.
구기자에 맥문동 오미자 사삼 산도라지를 넣고 다려서 먹든지 환을 지어 먹으면 폐가 좋아지고 기침 해소 천식이 없어진다.
구기자에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목단피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복분자 뽕뿌리 천화분 누에를 넣고 환으로 만들어 복용 하면 당뇨에 특효약 이다. 백출을 조금 가미 하면 소화도 잘된다. 당뇨, 빈혈, 신경쇠약 위궤양, 조갈, 치통, 해수, 폐결핵 |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렇게 삽니다 저는 ~ (0) | 2010.11.25 |
---|---|
[스크랩] Re:곰보배추에 대해서(이렇게 쓴다네요? ㅎ- 펌글) (0) | 2010.11.19 |
[스크랩] 구기자 나무 재배법(모두 모아서 올립니다.) (0) | 2010.11.12 |
[스크랩] 요즘 여주가 방송 및 인터넷에 날리 인데요 여주를 먹거리로 활용하는 방법 입니다 (0) | 2010.11.08 |
[스크랩] 삼지구엽초(음양곽) (0) | 201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