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고혈압ㆍ중풍 예방의 탁효, 삼점혈(三点穴)

동곡 2005. 7. 20. 12:14
고혈압ㆍ중풍 예방의 탁효, 삼점혈(三点穴)
내관(內關),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의 경혈(經穴) 안마요법

1. 시행방법

내관 : 손목 선에서 위로 3~4cm정도 올라간 위치. 정중앙을 눌러준다.

합곡 : 엄지와 검지가 갈라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다른 손 엄지의 첫마디 만큼 들어간 자리를 눌러준다.

족삼리 : 무릎 양쪽의 쏙 들어간 자리에서

아래로 6~7cm 내려간 곳에 위치해 있으며 경골과 비골 사이를 눌러준다.

각 혈위(穴位)에 손가락(특히 엄지 손가락 끝)으로 2초 동안 눌렀다가 1초 쉰다(혈자리는 이미지 참조).
이런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5분 동안 실시한다.
한 혈자리에 5분씩 세 곳을 합해 총 15분의 시간만 할애하면 된다.

이를 아침 기상과 동시에, 그리고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에 각각 15분씩 실시해 주면 전신의 면역기능을
높이고 강장효과(强壯效果)를 도모해 주면서 고혈압이나 중풍을 예방하는 데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하루는 왼쪽, 하루는 오른쪽으로 교대로 실시한다. 시간이 허락하면 양쪽의 혈자리에 모두 실시하면 더욱
좋다. 맨손체조 등으로 전신을 가볍게 풀어주거나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고 난 후에 시행하면 효과는
더욱 상승된다.

순서는 내관(內關),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의 순으로 해준다. 혈자리는 정확하게 찾으면 누를 때 주로 뻐근한 느낌이 든다. 이런 자극감이 있어야 효과가 옳게 발휘된다. 혈자리를 누를 때의 감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즉, 뻐근한 느낌, 얼얼한 느낌, 시큰거리는 느낌, 쿡쿡 쑤시는 느낌 등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 느낌이 강할수록 효과는 더 배가(倍加)된다. 이점을 유의해서 시행해 보도록 하자.

2. 각 혈위(穴位)에 대한 설명

(1) 내관(內關) : 이는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에 존재하는 혈(穴)이며, 인체의 총 12경맥(經脈) 중
여덟 경맥이 서로 만나는(交會穴) 자리다. 그래서 여러 경락이 서로 교차하는 아주 중요한 혈위(穴位)이며 임상에서 여러 질병을 광범위하게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고혈압, 중풍, 심장의 통증,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현기증, 편두통 등 심혈관(心血管)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한다. 특히 이 자리는 앞서 이야기한 질환이 있을 경우에 누르게 되면 자극감이
더 강렬하게 나타나므로 이런 병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의의를 가진다.

(2) 합곡(合谷) : 이는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에 존재하는 혈(原穴)이며, 호구(虎口)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두통, 코피, 치통, 구안와사, 이농(耳聾), 이하선염, 편도선염 등 인체의 상부,
즉 두부(頭部)에 생긴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한다.

(3) 족삼리(足三里) : 이 자리는 너무 유명해서 한방지식이 없는 사람도 한번쯤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에 존재하는 혈자리(合穴)이다. 한마디로 보건강장작용을 하는 중요한 혈자리다.

특히 위장질환에 대해 탁효(卓效)를 나타내며 합곡(合谷)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상승효과를 보인다.
인체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에서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며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상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도 증명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위통, 구토, 설사, 이질, 변비, 유방의 양성 종양(腫瘍), 장염
(腸炎), 하지마비, 부종, 전광(癲狂), 각기(脚氣), 전신허약증상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위의 세 혈자리를 이용한 지압요법은 한마디로 경혈(經穴)을 이용한 훌륭한 보약처방인 동시에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성약(聖藥)이라 할 만하다. 즉, 인체를 강건하게 하는 보약을 먹으면서 중풍이나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하는 주사를 맞는 것과 같은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이 경혈 안마(지압) 요법인 것이다.

세 곳을 수시로 꾸준히 지압해 주면, 현재 고혈압이나 중풍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보조적인 치료효과를, 그리고 건강한 사람에게는 그 예방작용에 있어 큰 몫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꾸준히 시행해 자신의 건강은 자신이 지켜가는 지혜를 가꾸어 보자.

출처 : 한방메디

출처 : 대체의학의 모든것
글쓴이 : 수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