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삼백초 파종법이 전문용어로 되 있어서 헷갈리시는거 같습니다..
제가 나름대로 풀어서 적어봤습니다..
나중 삼백초님이 보시고 잘 못된점은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을 첨부 했습니다..
.................................................................................................
종근은 파종 2~3일 전에 파서 마르지 않도록
땅에 묻거나 거적 등으로 덮어 보관 후 파종 전날
굵고 싱싱한 것을 선별하여 부패, 이병 부위를 잘라 내고
새싹이 붙은 쪽에서부터 상위, 중위, 하위부로 구분하여
상위부 마디 사이는 길으므로 2~3절, 중위부는 3절,
하위부는 마디 사이가 짧으므로 7~8㎝ 정도씩 자른다.
(일반적으로 세마디정도를 잘라 심는게 보통입니다)
파종은 중부지방 4월 상.중순, 남부지방 3월 하순에 하며,
재식밀도는 휴폭 40~60㎝에 주간 5~25㎝로 점파하고, (그림참고)
대면적 재배일 경우 휴폭 40~60cm로 골을 타고
종근을 뿌린 후 2~3㎝정도로 복토한다.
재배년수에 따른 적정 재식밀도는 1년생 40×5cm, 2년생 40×25cm이었다.
비료주기는 파종 10일전 기비로 10a당 퇴비 2,000㎏, 요소 15㎏, 용과린 13㎏,
염화가리 7㎏정도를 균일하게 뿌리고 발아 후 생육정도에 따라 추비를 시용한다. |
종근이 채취한기간이 오래되어 약간 시들한 경우.. 물에 담가뒀다가 생생해지면 심어도 됩니다..^^
이렇게 설명드리면 참고가 되시는지요... 잘 키워보시기 바랍니다....^^ 안보이시면 기본앨범을 참고해 보세요~
어제 저희 밭에 심는 모습입니다.. 참고가 되실런지요~
|
아래쪽 넓은 세 이랑이 삼백초 심은 자리입니다..
호미로 약 20센티 간격으로 골을 내고.. 삼백초 자른것을 10센티 간격으로 넣은후 흙을 덮었습니다...
우리 농장은 마니 추운곳이라 좀 깊게 심었습니다...(약 5센티정도 깊이..) 가을엔 왕겨를 잔뜩 덮은후 비닐로 덮어줄 예정입니다..
작년에 심은것중 살아남은건 몇개 되질 않네요... 다 얼어죽고...쩝
출처 : 삼백초 건강법
글쓴이 : 서리태 원글보기
메모 :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을 산길에서 만나는 열매들 (안병기/오마이) (0) | 2005.10.11 |
---|---|
[스크랩] 토종약초로 ‘보약마을’ 일군다 (권복기/한겨레) (0) | 2005.10.11 |
[스크랩] 수확 (0) | 2005.10.08 |
[스크랩] 삼백초의 활용법(종합편) (0) | 2005.10.08 |
[스크랩] 야콘의 모든 것 (야콘사랑님) (0) | 200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