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1.jpg) |
오수유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2.jpg) |
산뽕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3.jpg) |
목연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4.jpg) |
주염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5.jpg) |
청미래덩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6.jpg) |
초피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7.jpg) |
인동넝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8.jpg) |
두릅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9.jpg) |
오미자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10.jpg) |
소태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11.jpg) |
붉나무 |
|
![](http://www.sanrimji.com/images/1972/12/197212040-12.jpg) |
개다래나무 |
| |
- 특히, 농산촌에 흔한 약목(약용식물)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산야에는 찾아보면 많은 약목(약용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므로 농촌에서는 손쉽게 이용할 수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무관심하기 지나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이를 좀더 알고서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 지난(10월호)에 이어 소개코자 한다.<편집자>
칡
1. 별명:갈, 갈근, Kuzu 2. 일반적인 성질 낙엽활엽 덤불목으로 8월경에 자색의 꽃을 피운다. 과실은 10월경에 성숙한다. 3. 분포지역:전국 각처(일본, 대만, 중국) 4. 약효부분:뿌리 5. 약효 뿌리를 건조한 것을 갈근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갈근탕으로서 땀을 내는데 사용하거나 해열약으로서 사용한다. 6. 채취법 가을에서 겨울사이이 지상부가 고사한후 지중의 뿌리를 굴취하고 적당한 크기로(길이 30∼40cm, 폭 5∼10cm, 두께 15cm) 절단하여 양전한다. 갈전분은 생뿌리를 분쇄하고서 물을 가하여 섬유를 제거하고서 자루에 옮기여 압착한 진전물에서 만든다. 7. 기타 이용법 가. 갈저분은 과자제조의 원료로서 좋다. 나. 갈저분은 갈탕으로서 병후의 식사물로서 좋다. 다. 생엽은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라. 줄기의 인피 섬유는 갈저의 원료가 된다.
오수유
1. 별명:오수차 Yakyo·goshyuyu 2. 일반적인 성질 중국원산의 낙엽활엽 교목이며 자웅이주이다. 꽃은 담녹색으로 5∼6월경에 작은 단성화를 피운다. 11월경에 과실이 자홍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경북(식재) 제주(식재) (일본, 중국) 4. 약효부분:과실 5. 약효 성숙한 과실에는 주성분, 애보시아밍 루지가루빙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건위 이뇨, 진통 등에 1일 1∼3gr를 다려서 복용한다. 6. 채취법 성숙한 과실은 서리(상)가 내리기전에 채취하여 양건한다. 신선한 과실은 향기가 강하다.
산뽕나무
1. 별명:뽕나무, 산상, yamaguwa 2. 일반적인 성질 산야와 인가부근이 자생하는 낙엽 활엽수이며 잎은 난형 또는 광난형이다. 4∼5월경에 담황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보통 자웅이 주이며 과실은 7∼8월경에 자흑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전국 각지(일본, 대만, 중국) 4. 약효부분 근피 잎, 수피 과실 5. 약효 산뽕나무의 근피를 건조한 것을 뽕백피라고 하고 여기에는 알파아민이라는 주성분이 있다. 한방에서는 소염 기침약(진현) 부증 등에 1회 3∼4gr를 다려서 복용한다. 잎은 보혈강장의 효과가 있고 엽록소는 탈취 방취작용이 있어서 이 닦는데 사용한다. 수피는 다려서 누룩으로 술을 말들어 불로장수를 위하여 음용한다. 과실은 술을 만들어 자양강장, 저혈압 불면증 등에 음용하면 좋다. 6. 채취법 뿌리는 6월경에 굴취하여 3∼4일간 물에 침적시켜 두었다가 주걱으로 근피를 벗긴다. 이것을 건조시킨다. 7. 기타 이용법 가. 과실은 생식한다 나. 잎은 양잠에 사용한다 마. 줄기와 잎은 차(다)로도 사용한다
목연
1. 별명:신컷, kobushi 2. 일반전인 성질 낙엽, 활엽, 교목으로서 수고는 5∼10m까지 이룬다. 가지는 녹색으로서 꺽으며는 향기를 풍긴다. 3∼4월경 잎이 피기전에 가지끝에 백색의 작은 향기있는 꽃을 피운다. 과실은 9∼10월경이 성숙한다(종자는 적색). 3. 분포지역:제주도, 경남, 전남,(일본) 4. 약효부분 꽃, 잎, 수피 5. 약효 약용으로는 꽃과 잎 수피 등을 건조하여 사용하는데 주성분은 지도라-루오이게노-루 지네오-루 등이다. 한방에서는 두통 축농증, 창독 등에 사용한다. 창독에는 1일 2∼3gr, 축농증에는 1회 2∼3gr를 다려서 사용한다. 6. 채취법 꽃과 꽃봉오리를 3∼4월경에 따서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주염나무
1. 별명:삼협, chosen·saikachi 2. 일반적인 성질 산야에 자생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줄기나 가지에는 가시(자)가 있으며 대목이 되며는 가시도 크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양성화를 갖는 자웅 동주와 웅성화만을 갖는 웅수가 있다. 6월경 담황녹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과실은 10월경이 적갈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남한 전역 4. 약효부분:과실 5. 약효 과실을 양건한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주성분은 중성사 보닌으로서 기관지염에 1일 1∼2gr릍 다려서 복용한다. 6. 채취법 2월경 과실을 채취하여 앙건하여 사용한다. 7. 기타 이용법 새싹은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청미래 덩굴
1. 별명:명감나무(남부지방). 산귀내, 토복령, Sarutori·ibara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산야 도처에 자생하는 낙엽 덩굴목으로서 자웅이주이다. 앞은 원형이고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초여름이 담녹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과실은 가을에 성숙한다. 3. 분포지역:남한전역(일본, 대만, 중국) 4. 약효부분:근경 5. 약효 근경을 건조한 것을 토복영이라고 한다. 주성분은 스미라찐으로서 한방에서는 해독약으로 발한 이뇨, 나력(이경, 인파선의 종기 )등에 유효하다. 1일 15gr를 다려서 복용한다. 오래전부터 피부병이나 매독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6. 채취법 잎이 떨어지는 늦은 가을에 생육이 양호한 나무를 택하여 지상부를 제거하고 근경을 굴취한후 수선하고서 두께 1∼2cm로 절달하고서 양건한다. 우량품은 백색을 나타낸다. 7. 기타이용법 가. 홍숙한 과실은 생식한다나. 꽃과 과실은 생화로서 사용한다.
초피나무
1. 별명:산초나무 산초, 산초 Sanshyo 2. 일반적인 성질 낙엽활엽 관목으로 줄기에는 가시(자)가 대생한다. 자웅이주로서 5월경에 황녹색의 작은 꽃을 피운다. 과실은 구형이고 9월경에 성숙하고 열개하며는 흑색의 광택이 있는 종자가 보인다. 3. 분포지역:전남북, 경남북, 충남, 강원, 경기, (일본) 4. 약효부분 과피, 종자 5. 약효 과실의 증자를 제거한 과피가 약용으로 사용한다. 그 주성분은 지밴텐으로서 매운맛이 있는 성분은 산쇼루이다. 건위건장약 구충약으로서 1일 5∼8gr를 다려서 복용한다. 이밖에 해독작용도 있다. 종자는 이뇨약으로도 사용한다. 6. 채취법 성숙한 과실을 과피와 종자로 분리하여 양건한다. 7. 기타 이용법 수피와 잎은 쪄서 식용으로도 한다.
인동넝굴
1. 별명:인동 Suhikazura 2. 일반적인 성질 산야에 자생하는 낙업 활엽관목으로서 5월경에 백색 꽃을 피우며 꽃은 향기가 있고 꿀(밀)을 분비한다. 처음에는 백색이나 그후 황색으로 변한다. 과실은 구형으로서 성숙하면 흑색으로 변한다. 3. 분포지역:우리나라 전도(일본, 중국) 4. 약효부분 잎, 줄기 5. 약효 잎과 꽃을 건조시켜서 약용으로 사용한다. 꽃에는 루데오틴을 잎이는 탄닌을 각각 함유하고 있어서 한방에서는 이뇨 해독, 화농성 질환의 해열, 장염, 매독, 관절의 통증 등에 1일 15gr를 다려서 복용한다. 6. 채취법 6월경 꽃을 따서 속히 풍건시키고 6∼9월 사이에 잎을 따서 풍건시키어 사용한다. 7. 기타 이용법 잎은 식용 또는 차용으로도 사용한다.
두릅나무
1. 별명:참두릅(황해), 인목 Taranoki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산야에 널리 자생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엽맥상에 많은 가시(자)가 밀생하고 있다. 8월경에 작은 백색 꽃을 피운다. 과실은 10월경에 자흑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우리나라 전도(일본, 중국) 4. 약효부분 수피, 잎 5. 약효 수피(주로 근피)는 다라린을 함유하고 있고 지방에 따라서는 당뇨병, 위장병 등에 사용되며 특히 위암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1일 8gr를 다려서 복용한다. 잎은 건위약으로서 다려서 복용한다. 6. 채취법 봄과 가을에 줄기와 뿌리 등을 채취하여 수선한 후 3∼6cm 로 절단하고서 박피를 한다. 음건하여 사용한다. 7. 기타 이용법 새싹은 식용으로 한다.
오미자
1. 별명:오미자, Chosen-gomihi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도처에 자생하는 낙엽활엽, 덩굴목으로서 자웅이주이다. 6∼7월경에 홍백색의 향기 좋은 작은 꽃을 피운다. 과실은 8∼9월경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경남북, 전남 경기, 강원(일본, 중국) 4. 약효부분 과실 5. 약효 과실을 건조한 것을 오미자라고하며 주 성분은 싯잔드린으로 한방에서는 자양강장 기침 약 등으로 사용한다. 1일 5∼15gr를 다려서 복용한다. 6. 채취법 가을에 홍색으로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고 음건한다.
소태나무
1. 별명:고목, Nigaki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서 자웅이주이며 높이는 8∼15m까지 자란다. 5∼6월경에 황녹색의 작은 꽃을 피우고 과실은 9월경에 황청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우리나라 일원,(일본, 대만, 중국) 4. 약효부분 목질부 5. 약효 수피를 벗기고 목질부를 건조한 것이 소태목이다. 주성분은 갓신, 탄닌 등으로 전위약 구충제 등으로 사용된다. 또 소태목액쓰 제조원료로도 사용된다. 6. 채취법 여름철에 지상부를 절단하고 수피를 벗겨낸 후 다시 작게 절단하여 양건한다.
붉나무
1. 별명:오배자나무, 오배자수, 염부목, Nurude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산야 전역에 걸쳐서 자생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서 높이 6m내외까지 자란다. 7∼8월경에 황백색의 꽃을 피운다. 과실은 10월경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우리나라 일원(일본, 만주) 4. 약효부분 잎에 생긴 오배자, 과실 5. 약효 오배자는 붉나무잎에 형성된 벌레혹을 채취하여 양건한 것이다. 주성분은 탄닌으로서 민간약으로서는 급성 만성의 신장염에 다려서 복용한다(20∼100gr) 그밖에 충치, 편도선염 등에도 사용된다. 6. 채취법 초가을에 혹속에 들어있는 기생충이 나오기전에 오배자를 채취하고서 건조한다. 7. 기타 이용법 대만 본토인이나 아이누인은 과실에 부착되어 있는 백분을 소금 대용으로 사용한다.
개다래 나무
1. 별명:못좃다래나무(전남) 목천료, Matatabi 2. 일반적인 성질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 덩굴목이며 6∼7월경에 백색 꽃을 피운다(매화와근사), 과실은 8∼9월경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3. 분포지역:충북을 제외한 전국 각지(일본, 만주) 4. 약효부분 과실 5. 약효 개다래 나무 과실에 개다래나무 파리가 기생하여 형성한 벌레혹을 건조한 것을 목천료라고 부른다. 주성분은 아구찌니진 마다다비라구돈으로서 신경통에 복용한다. 6. 채취법 10월경에 과실의 벌레혹이 성숙한 것을 채취하고 즉시 열탕에 넣고서 기생충을 포살한 후 건조시킨다. 7. 기타이용법 가. 황숙한 과실을 생식한다. 나. 새로 나온 잎은 식용으로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