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농업 전기의 위험과 안전작업 기술지침
발행일자 : 2001년 10월
[농업 전기의 위험과 안전작업 기술지침]
[그림1]

□누전차단기
▶누전이란 전깃줄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가전제품 몸체 등 전기배선과 관계없는
부분에서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누전차단기는 조그마한 누전이 발생해도 전기를 0.03초 이내에 재빨리 차단
하는 안전장치로, 220V를 사용하는 가정에는 두꺼비집 옆에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누전차단기에는 누전만 차단해 주는 일반 가정용인 초록색 버튼과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수용가에서 쓰는 누전 및 과전류를 함께 막아 주는 빨간색
버튼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정상 작동여부는 누전차단기에 달려 있는 시험용 버튼을 눌러 순간적으로
누전을 시켜보면 알 수 있다.
이 때 `딱` 소리가 나면서 개폐스위치가 내려지면 정상이다.
▶누전차단기는 최소 한 달에 한번씩은 점검해야 하며, 장마철에는 미리 손을
봐두는 것이 좋다.
[그림2]

□감전사고시 응급처치 방법
감전쇼크에 의하여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 혈액중의 산소함유량이 약 1분
이내에 감소하기 시작하므로 산소결필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단시간 내의 인공호흡 등 응급조치에 의하여 감전사망자의 96%
이상을 소생시킬 수가 있다.
▶사고자 처리방법
-사고전원차단 및 사고자를 안전한 장소로 구출한다.
-사고자를 편안하게 눕히고 급격한 온도 및 습도 변화로부터 보호한다.
-호흡장애 요인이 될 수 있는 목도리, 혁대, 신발 등을 제거하거나 느슨
하게 한다.
-의식이 없는 사고자에게 물 또는 음료수를 공급하지 않아야 하며 옆으로
눕히고 머리를 뒤로 제쳐 기도를 확보한다.
-위 조치와 동시에 119 등에 사고발생 신고 등의 조치를 한다.
▶응급조치 요령 (인공호흡)
(1) 구강 대 구강법
-사고자의 입으로부터 오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그림3]

구강대구강법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을 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으로 코를 쥐고 피재자의 입에 처치자의 입을 밀착시켜서 숨을 불어
넣는다.
-사정에 따라 손수건을 사용하되 종이수건의 사용은 금한다.
-처음 4회 때에 신속하게 크게 불어 넣어 페가 완전히 수축되지
않도록 한다.
-사고자의 가슴이 불룩해진 것을 확인하고 입을 뗀다.
-정상적인 호흡간격인 5초 간격으로(1분에 12-15회)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2) 샤우엘법
-사고자의 입으로부터 오물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양손을 위로하여
반듯하게 엎어 놓는다.
-아래의 그림순서에 맞추어 매분 12-15회 정도로 30분 이상 실시한다.
[그림4]

샤우엘법
□벼락피해 예방
▶통신선 등에 벼락이 떨어져 가전제품이 과전류로 인해 손상되는 등 피해가
잦다.
▶번개가 치기 시작하면 외부 안테나가 설치된 TV는 플러그를 뽑아 둔다.
▶번개가 치는 동안 전기기구를 만지거나 수리하는 것은 극히 위험하며
농촌에서 전깃줄이나 전기기구를 들고 농로를 다니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옥내·외 설비의 일상 점검 요령
▶습기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전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계기구가 접지시설이
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손과 발에 물기가 없어야 한다.
▶전기 기기 사용을 위한 코드나 배선기구는 용량과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누전으로 인한 화재나 감전사고 예방의 기본장치인 누전차단기는 월 1회
이상 시험버튼으로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노후한 전기설비를 계속 사용할 시에는 누전, 합선,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고치거나 새것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무자격자에게 전기설비의 개·보수를 의뢰하는 경우 더 위험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 시공업체에 의뢰한다.
□전기설비의 올바른 유지·관리 요령
개폐기(차단기)
▶과전류가 흐를 때 전기를 자동적으로 차단시키거나, 정전이 필요할 때
안전을 위하여 전기공급을 차단시켜 주는 안전장치이다.
▶뚜껑 등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뚜껑 이탈, 몸체 파손 및 레바(손잡이)가
손상되면 충전부의 노출로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즉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퓨즈
▶허용된 전류용량 한도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일정시간 경과 후 끊어져
화재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규격화된 제품으로 용량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용량은 제품의 양끝에 표시되어 있고 보통 개폐기(차단기)
외피, 손잡이 등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전기사용량이 많은 경우나 합선의 경우에 퓨즈가 끊어지며 전자의 경우는
상태를 파악하여 배선을 분리 조절해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합선지점을
제거한 후에 퓨즈 대신 철선, 구리선 등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특히
유의한다.
배선
▶옥내 모든 배선은 규격전선(지름1.6㎜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배선방법으로 전선 자체가 노출되면 예기치 않은 충격 등으로
합선 및 여타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선 보호용 관을
사용해야 한다.
▶전선을 연결할 때는 연결지점이 헐거워지지 않도록 단단히 조이고,
고정시킬 때에는 못을 박거나 철사로 조이는 것은 위험하므로
전선 보호용구를 이용하도록 한다.
발행일자 : 2001년 10월
[농업 전기의 위험과 안전작업 기술지침]
[그림1]
□누전차단기
▶누전이란 전깃줄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가전제품 몸체 등 전기배선과 관계없는
부분에서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누전차단기는 조그마한 누전이 발생해도 전기를 0.03초 이내에 재빨리 차단
하는 안전장치로, 220V를 사용하는 가정에는 두꺼비집 옆에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누전차단기에는 누전만 차단해 주는 일반 가정용인 초록색 버튼과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수용가에서 쓰는 누전 및 과전류를 함께 막아 주는 빨간색
버튼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정상 작동여부는 누전차단기에 달려 있는 시험용 버튼을 눌러 순간적으로
누전을 시켜보면 알 수 있다.
이 때 `딱` 소리가 나면서 개폐스위치가 내려지면 정상이다.
▶누전차단기는 최소 한 달에 한번씩은 점검해야 하며, 장마철에는 미리 손을
봐두는 것이 좋다.
[그림2]
□감전사고시 응급처치 방법
감전쇼크에 의하여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 혈액중의 산소함유량이 약 1분
이내에 감소하기 시작하므로 산소결필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단시간 내의 인공호흡 등 응급조치에 의하여 감전사망자의 96%
이상을 소생시킬 수가 있다.
▶사고자 처리방법
-사고전원차단 및 사고자를 안전한 장소로 구출한다.
-사고자를 편안하게 눕히고 급격한 온도 및 습도 변화로부터 보호한다.
-호흡장애 요인이 될 수 있는 목도리, 혁대, 신발 등을 제거하거나 느슨
하게 한다.
-의식이 없는 사고자에게 물 또는 음료수를 공급하지 않아야 하며 옆으로
눕히고 머리를 뒤로 제쳐 기도를 확보한다.
-위 조치와 동시에 119 등에 사고발생 신고 등의 조치를 한다.
▶응급조치 요령 (인공호흡)
(1) 구강 대 구강법
-사고자의 입으로부터 오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그림3]
구강대구강법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을 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으로 코를 쥐고 피재자의 입에 처치자의 입을 밀착시켜서 숨을 불어
넣는다.
-사정에 따라 손수건을 사용하되 종이수건의 사용은 금한다.
-처음 4회 때에 신속하게 크게 불어 넣어 페가 완전히 수축되지
않도록 한다.
-사고자의 가슴이 불룩해진 것을 확인하고 입을 뗀다.
-정상적인 호흡간격인 5초 간격으로(1분에 12-15회)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2) 샤우엘법
-사고자의 입으로부터 오물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양손을 위로하여
반듯하게 엎어 놓는다.
-아래의 그림순서에 맞추어 매분 12-15회 정도로 30분 이상 실시한다.
[그림4]
샤우엘법
□벼락피해 예방
▶통신선 등에 벼락이 떨어져 가전제품이 과전류로 인해 손상되는 등 피해가
잦다.
▶번개가 치기 시작하면 외부 안테나가 설치된 TV는 플러그를 뽑아 둔다.
▶번개가 치는 동안 전기기구를 만지거나 수리하는 것은 극히 위험하며
농촌에서 전깃줄이나 전기기구를 들고 농로를 다니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옥내·외 설비의 일상 점검 요령
▶습기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전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계기구가 접지시설이
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손과 발에 물기가 없어야 한다.
▶전기 기기 사용을 위한 코드나 배선기구는 용량과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누전으로 인한 화재나 감전사고 예방의 기본장치인 누전차단기는 월 1회
이상 시험버튼으로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노후한 전기설비를 계속 사용할 시에는 누전, 합선,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고치거나 새것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무자격자에게 전기설비의 개·보수를 의뢰하는 경우 더 위험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 시공업체에 의뢰한다.
□전기설비의 올바른 유지·관리 요령
개폐기(차단기)
▶과전류가 흐를 때 전기를 자동적으로 차단시키거나, 정전이 필요할 때
안전을 위하여 전기공급을 차단시켜 주는 안전장치이다.
▶뚜껑 등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뚜껑 이탈, 몸체 파손 및 레바(손잡이)가
손상되면 충전부의 노출로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즉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한다.
퓨즈
▶허용된 전류용량 한도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일정시간 경과 후 끊어져
화재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규격화된 제품으로 용량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용량은 제품의 양끝에 표시되어 있고 보통 개폐기(차단기)
외피, 손잡이 등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전기사용량이 많은 경우나 합선의 경우에 퓨즈가 끊어지며 전자의 경우는
상태를 파악하여 배선을 분리 조절해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합선지점을
제거한 후에 퓨즈 대신 철선, 구리선 등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특히
유의한다.
배선
▶옥내 모든 배선은 규격전선(지름1.6㎜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배선방법으로 전선 자체가 노출되면 예기치 않은 충격 등으로
합선 및 여타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선 보호용 관을
사용해야 한다.
▶전선을 연결할 때는 연결지점이 헐거워지지 않도록 단단히 조이고,
고정시킬 때에는 못을 박거나 철사로 조이는 것은 위험하므로
전선 보호용구를 이용하도록 한다.
출처 : 석회보르도액을 사용하는 농가모임
글쓴이 : 양길풍 원글보기
메모 :
'황토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보농군되기 4 - 지하수 개발과 관리하기 (0) | 2006.01.19 |
---|---|
[스크랩] 동파 방지용 정온 전선의 사용법 및 원리 (0) | 2006.01.12 |
[스크랩] 막사발식 귀틀흙집짓기 (여덟 ) 벽체 진흙바르기 (0) | 2005.11.28 |
[스크랩] 막사발식 귀틀흙집짓기 (일곱) 지붕덮기 (0) | 2005.11.28 |
[스크랩] 막사발식 귀틀흙집짓기 (여섯) 서까래 걸기 (0) | 2005.11.28 |